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한다.
“처음엔 조금씩 오르더니, 최근엔 수익이 늘지 않아요.”
“방문자 수는 계속 나오는데 수익은 제자리예요.”
“글도 꾸준히 쓰고 있는데 왜 수익이 안 오를까요?”
처음에는 하루 수익 100원, 300원, 500원씩 올라가더니
어느 순간부터 더 이상 올라가지 않고 ‘수익이 정체’되는 시기가 온다.
이 시점에서 많은 블로거들이 지치고 포기한다.
하지만 중요한 건,
수익이 정체되는 이유가 단순히 글이 부족해서가 아니라,
‘블로그 구조 자체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’일 수 있다는 것이다.
이번 글에서는 수익형 블로그의 성장 곡선이 멈췄을 때
반드시 점검해야 할 5가지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,
그에 대한 실전적인 해결 전략을 함께 정리한다.
✅ 1. 유입이 분산된 글 구조 – 인기글 중심으로 수익이 집중되고 있는가?
블로그 전체 글 수가 100개라고 해도
실제로 수익을 만들어내는 글은 상위 10~20%에 불과하다.
✔ 문제 상황:
- 전체적으로 유입이 골고루 퍼져 있음
- 클릭률 높은 글이 없음
- 수익글이 단독으로 존재하고, 확장 콘텐츠가 부족함
✔ 해결 전략:
- Search Console 또는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상위 수익 글 확인
- 해당 글을 중심으로 시리즈 글, 비교 글, 후기 글 작성
- 수익이 나는 글에 내부링크를 집중 배치
📌 핵심:
‘잘 되는 글을 중심으로 구조를 확장’하지 않으면
전체 글 수가 늘어도 수익이 늘지 않는다.
✅ 2. 낮은 광고 클릭률(CTR) – 광고 위치와 글 구성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가?
방문자는 많은데 클릭 수가 낮다면,
광고 배치나 글 흐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.
✔ 점검 사항:
- 광고가 너무 상단에 몰려 있진 않은가?
- 본문 흐름 속에 광고가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가?
- 단락 사이, 요약 지점, 리스트 앞뒤에 광고가 배치되어 있는가?
✔ 해결 전략:
- 클릭률 높은 글에서 광고 위치 분석
- 본문 중간, 정보 정리 직전, 비교표 전후 등
‘사용자가 멈추는 구간’에 광고 배치 - 광고 수는 PC 2~3개, 모바일 2개 이하로 조절
📌 핵심:
글을 읽다 보면 ‘자연스럽게 시선이 닿는 위치’에 광고가 있어야 클릭이 발생한다.
✅ 3. 낮은 광고 단가(CPC) – 저단가 키워드에만 집중하고 있지 않은가?
아무리 클릭이 많이 나도, 단가가 낮으면 수익은 제한된다.
실제로 많은 블로거들이 정보성 키워드는 많은데 수익은 적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.
✔ 문제 키워드 예시:
- 무료, 간단한, 쉬운, 저렴한, 사용법, 정리법 등
→ 트래픽은 많지만 광고 단가 낮음
✔ 해결 전략:
- 고단가 키워드 콘텐츠 추가 (예: 생산성 앱, 클라우드 서비스, 프리미엄 기기, 재테크 등)
- 기존 글에 고단가 연관 키워드 추가해서 구조 확장
- 후속 글로 광고 친화형 콘텐츠 연결 (예: 사용법 → 비교 후기 → 추천 제품)
📌 핵심:
수익을 키우고 싶다면 ‘유입 키워드’뿐 아니라 ‘광고 단가’도 함께 봐야 한다.
✅ 4. 체류시간이 짧음 – 내부링크 구조가 제대로 설계돼 있는가?
체류시간이 짧으면 검색엔진이 “이 블로그는 유용하지 않다”고 판단할 수 있다.
또한 광고 노출 횟수도 줄어들기 때문에 수익 정체로 직결된다.
✔ 점검 사항:
- 글 하단에 관련글을 안내하고 있는가?
- 시리즈 글 간 연결이 되어 있는가?
- 본문 중간에 자연스럽게 다른 글을 추천하고 있는가?
✔ 해결 전략:
- 인기글 → 보조글 → 후기글 → 추천글 순으로 내부링크 구성
- 글 1개당 최소 2개 이상의 내부링크 포함
- ‘함께 보면 좋은 글’, ‘관련 콘텐츠 추천’ 영역 제작
📌 핵심:
내부링크 하나가 광고 2~3회 노출 기회를 만들고,
체류시간 증가 → SEO 강화 → 유입 확대 → 수익 상승이라는 구조를 만든다.
✅ 5. 리라이팅과 콘텐츠 유지보수가 없었음 – 오래된 글은 죽은 자산이다
수익이 잘 나던 글도 시간이 지나면 노출에서 밀려나고, 유입도 줄어든다.
하지만 많은 블로거들이 “새 글 쓰기”에는 집중하고, “기존 글 관리”는 소홀하다.
✔ 점검 기준:
- 발행 후 6개월 이상 된 글
- 평균 노출 순위가 10~20위 (2페이지 위치)
- 유입 키워드가 줄어든 글
✔ 해결 전략:
- 제목, 소제목 리프레시
- 최신 정보 추가 (연도, 앱 버전, 비교항목 등)
- Search Console에서 키워드 확인 → 본문에 자연 삽입
- 발행일 최신화 + 재색인 요청
📌 핵심:
새 글 1개보다 리라이팅 1회가 더 큰 수익을 만들 수 있다.
마무리 – 수익은 멈춘 게 아니라 구조가 막힌 것이다
블로그 수익이 정체될 때 많은 사람들은
“그냥 열심히 더 써보자”라고 생각한다.
하지만 열심히만으론 수익 구조는 바뀌지 않는다.
오늘 점검한 5가지 구조 문제를 돌아보자:
✅ 인기글 확장 구조가 없는가?
✅ 광고 위치가 비효율적인가?
✅ 저단가 키워드에만 집중하고 있지 않은가?
✅ 내부링크 설계가 부족한가?
✅ 오래된 글을 방치하고 있지는 않은가?
이 중 2~3가지만 제대로 점검하고 개선해도
정체됐던 수익은 다시 상승 흐름을 탈 수 있다.
수익이 줄었다고 낙담하지 말고,
그건 ‘구조 점검의 시기’라는 신호일 수 있다.